본문 바로가기
비공개/과거

꿈개미 잡담) 긴급금리인하는 미증시 대폭락 예고? (2008년 데자뷰)

by 차티스트꿈개미 2020. 3. 8.

 

 

오늘은 조금은 무거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어느 모 카페에서는 미증시의 대폭락 시그널이 떴다고 하면서, 대폭락장을 위한 단타매매기법, 하락시장 분석하는 방법, 대폭락장에서도 대응할 수 있는 매매기법을 만들어서 금액을 받고 판매를 하고 있던데..

매번 금융위기론은 제시되어져 왔습니다. 매번 금융위기론을 제시하고 내 예측이 맞으면 '예측한대로 되지않았냐', 틀리면 묻어가기.. 항상 똑같은 레퍼토리입니다.

 

 

포스팅 하는 내용은 '대폭락장' 이 올 것이다라.. 라는 예언하는 포스팅이 아닌, 왜 이런 예고를하고 전망을 하는것인지,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에 따른 판단은 여러분 몫입니다.

 

 


긴급 금리 인하


https://www.yna.co.kr/view/AKR20200304001051072?input=1195m

 

미 연준, 기준금리 0.5%p 긴급 인하…"코로나19, 경제에 리스크"(종합) | 연합뉴스

미 연준, 기준금리 0.5%p 긴급 인하…"코로나19, 경제에 리스크"(종합), 이준서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3-04 00:49)

www.yna.co.kr

 

 

이번 미 연준은 코로나19의 경제 리스크를 벗어나고자,

0.25%포인트씩 금리를 조정하는 일명 '그린스펀의 베이비스텝' 원칙에서 벗어난 '0.5%포인트 빅컷' 을 실행했습니다. 그것도 정례회의 전에요.

 

 이로써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1.50~1.70%에서 1.00~1.25%로 내려갔습니다.

 

일전에 시황분석 때도 언급을 드렸던 적이 있는데, 코로나 19는 보건위기로써 발생한 시장의 불안한 심리를 통화 정책으로 해결하는 듯한 모습이 맞지 않다고 말씀을 드렸었죠.

 

또한, 중앙은행의 역할이 결국 미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부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고 있습니다.

 

 

일단, 왜 미연준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금리인하를 실행을 했는지 이유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미국은 긴급 금리 인하를 결정하였는가?


코로나 19가 당장은 미국의 지역사회 확진 정도의 악재로 작용을 하고 있으나,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가는 경우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전세계 경기 위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 미국의 경제 펀더멘탈은 건재하지만, 코로나19 가 둔화를 시키고 있다는게 연준의 입장인데요.

 

불과 몇일만에 성명이 뒤바뀌며 긴급금리 인하를 실시할 정도로 연준은 현 상황을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외신의 보도도 있으면서, 투자자들의 투매를 더욱 가속화 시킨것으로 보여집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685573&plink=ORI&cooper=NAVER

 

트럼프, 10조 원 코로나19 예산 서명…연준엔 “금리 더 내려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의회가 승인한 83억 달러, 우리 돈 약 9조8천억원 규모의 긴급 예산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이 법안은 미국 내에서도 코로나19가 확산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의회에 긴급 예산을 요청한 데 따른 것으로, 당초 요청한 25억 달러의 3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news.sbs.co.kr

 

트럼프가 언론에 연준에게 대대적인 금리인하를 요구한다며 압박을 주었습니다.

이전의 미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해임 운운을 하더라도 묵묵히 연준은 미 행정부와는 별개로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펼치고 미국의 경제 성장을 목적으로하는 통화정책기구로써의 임무를 다해왔었는데..

결론적으로 보게되면 트럼프의 압박에 연준이 굴복한 꼴이 되어버렸네요.

 

 

 


왜 증시는 하락하였나?


 

미국 10년 국채 금리
나스닥 증시

 

미국채 10년 금리는 1% 대가 깨지면서 지속적인 하방 추세에 있습니다. 

미증시도 마찬가지로 급락을 거듭하였고, 금요일 장에서도 시가가 완전히 무너진 상태에서 시작하면서 월요일장을 두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접근한다면 일단 양봉도지는 그나마 하락에서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여하튼 미연준이 긴급 금리 인하를 단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불안함 속에서 지속되어 지고 있습니다.

결국 단순 금리 인하는 심리를 잠깐 진정시키는 진통제 효과 밖에 내지 못하며, 금리 인하 자체가 코로나19 백신이 아니며, 그 인하에 대한 혜택은 상위 기득권층 1% 에게만 수혜가 집중된다는 것이죠.

 

결국, 금리인하 이외에도 추경예산편성 등 구체적인 재정정책이 반영이 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고 급등랠리를 지속했던 것도, 세금 절하등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처방(재정정책들)을 실시 했기 때문인데, 지금 시점에서 과연 제시할 수 있는 재정정책 카드가 무엇이 있을까요.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 인하? 도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현재 하원을 민주당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만약 코로나19 발 위기를 트럼프가 이겨내는 시나리오를 만들게 냅둘까요? 

 

 현재 위기를 만에하나 트럼프 미 행정부가 이겨낸다면,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재선의 가능성을 높이고, 세계적인 지도자로,1인천하, 천상천하 유아독존은 트럼프 라는 타이틀을 민주당이 쉬이 달도록 냅두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당장 확진자 추이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코로나19는 경제위기가 아닌 보건위기라는 점.

보건위기를 직접적으로 처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백신'이지 '금리인하,재정정책' 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코로나 19는 증시도 아니고, 경제지표도 아닙니다. 미국 경제의 펀더멘탈이 견고하고, 증시가 안정된다고 해서 직접적인 경제 소비심리를 자극하기는 어렵겠죠. 

 

보건위기로 부터 오는 백신개발, 여기서 오는 소비심리위축을 직접적으로 잡아내지 않는 이상,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극대화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결론적으로 긴급 금리인하는 트라우마 처럼 남아있는 2008년도발 경제위기를 겪은 투자자들에게 오히려 역효과가 난 것은 아닌가 하고 예상해보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금리 인하 이외에는 재정정책,양적완화를 실시하지 않겠다는 파월의 발언은 더욱 급락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되어버렸네요.

 

 


2008년도의 악몽 되풀이?


 

미연준 금리 인하 역사

저는 당연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부분에서 곪는건지 시황을 분석하는 전문가들도 자세히 알지 못할 겁니다.

그저 확률이 높은 방향으로 베팅하는 것 뿐이고, 상방이라면 그에 맞게 적극적인 매수를, 하방이 높다면 대응을 어떻게 할 것인지 전략을 구상해놓는 수 밖에요.

 

그래서 우리는 과거에 긴급금리인하가 언제 실시가 되었는지 통계적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 미국의 긴급 금리 인하 역사를 살펴보게 되면, 2001년 9월 9.11 테러를 제외하고는 모두 경제위기에서 오는 긴급금리인하였습니다.

 

2008년도의 금리인하는 부채 디폴트로 인한 후행적 조치, 즉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었다면,

2020년 현재 실시된 긴급금리 인하는 코로나19라는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제에 대한 선행적 조치, 즉 예방하는 차원에서 실시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물론 여기서 우리는 의심 해볼 수 있습니다. 뭔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곪은 부분이 터지는 것은 아닌가? 하구요.

일부분에서는 분명 우리가 모르는 경제위기가 올것이다 라는 전망도 있습니다만..

 

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대선 가도를 달리기 위하여 미 행정부가 코로나 19라는 명분을 갖다 붙여 1-2년 간격으로의 조정을 주고 시장을 의도적으로 가라 앉힌 이후에 극적 반전 상승을 시키는, 이후 재선을 목표로 시나리오로 써내려가는 것은 아닌가 예상해보겠습니다.

 

하지만, 무작정 위 시나리오를 맹신하기 보다는, 2008년 금융위기가 리번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트리거가  당겨졌듯, 우리가 알게 모르게 곪고 있는 부분이 코로나 19가 경제위기의 트리거 역할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시나리오대로 대응하는 전략을 잘 만들어 두어야겠죠.

 

 


결 론


짧게 마무리하면..

미국경제, 특히 고용시장 및 소비 둔화가 시작될 기미가 보인다면 금리인하와 같은 이벤트말고 구체적인 감세 혜택 및 재정정책을 나서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 표면적으로 드러나있는 미국의 경제적 펀더멘털적 요소들은 견고한편으로 보여지고있으나, 2008년도 경제 위기기 오기 전에도 이러한 패턴을 보였으며, 한국 애널리스트들도 증시는 저점이다 라고 주워담아라!! 외쳤던..

 

 

 

코로나19가 표면적인 위기이기 때문에, 증시가 반등하기 위해서는 확진자가 점점 감소추이가 최소한 나타나줘야 하는 상황입니다.

 

 발병지 (중국) ㅡ 인근 전염지(한국,일본) ㅡ 세계 확산지(유럽,미국) 의 사이클은 한번 지속되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코로나 19로 인한 증시 하락 하방압력은 강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비회원도 공감(♥)이 가능하며, 중간중간 한번의 클릭이 큰 힘이됩니다.


하루에 여러가지 뉴스를 모아보고, 찾아보고 하고 있으며,

저녁시간을 할애하여 이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누워서 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하나의 습관화를 시켜두면 좋은날이 오겠지요.

 

좀 더 정보들에 대해서 빠르게 전해드리고, 같이 공부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카톡방을 만들었습니다

 

- 가즈아를 외치거나, 저 뿐만이 아니라 본인의 수익률,수익금 자랑은 금지하고 있습니다.

- 정치적인 발언도 금지하고 있습니다.

- 본인의 종목의 구체적인 분석은 불가능하며, 방 회원끼리는 오로지 정보공유(뉴스,테마,관련종목) 만 가능합니다.

 

리딩이 아닌 서로 공부를 위한 장을 열고자 합니다.

 

비밀번호는 0506 입니다

 

https://open.kakao.com/o/gtOxtWJb

 

꿈개미들의 주식 토론방/비번은 티스토리 시꿈개 검색

#주식 #이글벳 #에이치엘비 #마니커 #우리넷 #바이오 #테마주 #차트 #주식공부 #매매기법 #차트분석

open.kaka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