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공개/과거

삼성전자의 30% 캡률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차티스트꿈개미 2020. 1. 21.

장중에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오늘 장은 어제 제가 카톡방에서 말씀드렸듯, 지수 차트 자체가 매물대를 하락 돌파를 하면서 조정이 나올 것이다 라고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이 하락에 대해서는 설 연휴전 비중 줄이기 등 여러가지 하락요인들이 있겠습니다만,

삼성전자 시총 30% 상한제의 영향도 있다는 분석도 있어 내용을 준비해보았습니다.

해당 상한제의 경우는 꼭 오늘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반기까지도 예의주시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총 30% 상한제(CAP)란?


현재 코스피 200내에 삼성전자 시가총액 비중은 33%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30% CAP률 적용으로 2월 전후로 어느정도 조정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데요.

 

시총 30 % 상한제라는 것은 한국거래소가 코스피 200지수가 한 기업으로 인하여 좌지우지 되지 않도록 지난해 6월 도입한 제도 입니다.

 

 한 종목이 매년 3~5월과 9~11월 마지막 매매일을 기준으로 직전 3개월 평균 코스피200 편입 비중이 30%를 초과하면 그다음 달(6월, 12월)에 편입 비중을 강제로 30%로 조정하는 제도이지요. 

결국 아래와 같은 편입종목상위를 보더라도, 현재는 시가총액이 제일 높은 삼성전자에게만 해당되는 제도이며, 삼성전자 상한제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코스피200 상위 종목

 

여기서 아셔야할 것은, 상한제라는 것은 한국거래소가 강제적으로 삼성전자의 비중을 낮추는 것이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일부 물량에 대하여 줄이는 규정이라는 것입니다.

 

만약 대상이 된다면, 코스피 200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등은 이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을 해야합니다. 결국 매도물량 출회로 인한 주가 하락은 불가피 한 것이지요.

 

 

ETF 란? (Exchange Traded Fund)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ETF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해외 상한제 도입 현황

 

위에서 언급드렸듯, 삼성전자는 이미 코스피 200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일부터 30%를 훌쩍 넘어 섰기 때문에 적용이 되는 3~5월 이전에 매도 물량이 어느정도 출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2월 6일 부터 삼성전자에 대하여  D램가격 반등조짐, 반도체 시장 실적 개선등의 기대감으로 외국인들은 순매수로 대응을 하고 있고, 1월 20일은 62,800원으로 최고가를 갱신을 했습니다.

 

 

삼성전자 코스피 200 시가총액 비중 

 

 


예상 되는 시나리오는?


설 연휴 및 이러한 상한제(CAP) 적용으로 인해 어느정도 장이 쉬어가는 타이밍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이 상한제(CAP) 때문이다 라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많은데요.

 

한국거래소는 실제로 이 상한제가 삼성전자에 적용이 되기 전(3~5월) 에 연기금등을 통하여 '수시'조정을 할 계획이라고 보고 있으며, 따라서 연기금등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 물량 출회도 어느정도 감안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매도물량 철회는 코스피의 실질적인 주가 하락은 야기 할 수 있으나, '충격'이라고 표현할 정도는 아닐 것으로 보는 분석도 있으며, 중장기적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사견으로도 분명 이 상한제(CAP)률에 대한 내용은 작년 부터 나왔던 이야기이고, 운용사 측면에서도 이미 어느정도 자체적으로 서서히 물량 조절을 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이되며,

 

실질적으로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이 엄청난 대형 호재가 아닌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한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발생으로 인한 상승이기에 어느정도 실적이 나오게 되면 단기적인 조정을 통해 해당 상한제(CAP)도 해결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삼성전자가 조금 하락 조정 폭이 나온다면, 매수하는 타점을 잡아 볼 수도 있겠네요.

 

 

 

 


비회원도 공감(♥)이 가능합니다. 한번의 클릭이 큰 힘이됩니다.


하루에 여러가지 뉴스를 모아보고, 찾아보고 하고 있으며,

저녁시간을 할애하여 이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누워서 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하나의 습관화를 시켜두면 좋은날이 오겠지요.

 

좀 더 정보들에 대해서 빠르게 전해드리고, 같이 공부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카톡방을 만들었습니다.

현재는 공개방으로 되어있지만, 가끔 가즈아를 외치시거나, 기본중의 기본을 물어보시는 분들은 거르고 있습니다.

( 어느정도 주식을 하기위해서는 주식 무작정 따라하기 정도의 책은 기본적으로 이해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은 독불장군(?)식의 카톡방 운영일 수도 있지만,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글쓰는 저자의 수익률은 얼마인지 물어보시는 분도 강퇴하고있으며,

본인은 얼마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강퇴를 하고 있습니다.

 

리딩이 아닌 서로 공부를 위한 장을 열고자 합니다.

 

비밀번호는 0506 입니다

 

https://open.kakao.com/o/gtOxtWJb

 

꿈개미들의 주식 토론방/비번은 티스토리 시꿈개 검색

#주식 #이글벳 #에이치엘비 #마니커 #우리넷 #바이오 #테마주 #차트 #주식공부 #매매기법 #차트분석

open.kaka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