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주는 정말 개인투자자에게 있어 최악의 장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외국인은 지수로 볼 때 연일 평균 약 7000억원을 매도를 하고있고, 기관이 그나마 지수 방어에 힘쓰고 있는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개인은 오늘도 열심히 매수하는 장이었네요.
월초라 제 개인적인 일로 바쁘지만,
종목분석 없이 간단한 시황 분석으로 오늘 포스팅은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황 분석
■ 엄청난 개인의 매수세 ( 코리안 좀비 ) ,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

일단 살펴보아야할 것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하나가 지속적인 개인의 매수세 입니다. 2020년 1월 이후로 거의 엄청난 자금력을 개인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일 외국인은 평균 7000억원이 되는 금액을 팔아치우고 있음에도, 약 10조 가까이 되는 돈을 올해들어 계속해서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누적 13조원)
여기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신용을 무리하게 써서 물을 타는 것인가?
아니면, 있는돈 없는돈 끌어와서 매매를 하는 것인가?
라는 생각을 할 수가 있겠는데요
확실히 지금 개인들의 매수세가 물타기 및 신용잔고로 예측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12월 대주주양도세를 피하기 위한 큰손들의 매도 물량이 시장에 쏟아나오고 난 뒤의 1월 매수는,
어느정도 이 회피성 매도물량을 다시 매수하는 물량으로써 한계가 있을 것으로 다들 전망을 하였었는데,
2월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2-3일을 제외하고는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모양의 엄청난 매수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신용잔고편의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리겠지만,
신용잔고와 더불어 단순 고객예탁금도 증가하는, 즉 우상향의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한 두달 사이 약 2조원이 넘는 예탁금이 증가하면서, 신용잔고도 자연스레 상승할 수 밖에 없다 라는 분석을 해봄과 동시에, 최근 이러한 개인의 엄청난 매수세의 큰 이유라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했었으나,
최근 약 2조원의 단순 예탁금의 증가가 15조원의 개인 매수세를 설명하기엔 턱없이 부족해보입니다.
뉴스를 살펴보던 도중에, 부동자금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기사를 발견을 했는데요.

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부동자금은 기준 1045조원을 돌파하였다고 설명이되어져 있습니다.
2018년도 말보다 약 9% ( 84조원 ) 정도가 늘어난 수치라고 하는데요.
부동자금이라는 것은 쉽게 이야기하여 갈 곳을 잃은 자금으로써, 경제 주체들이 투자 및 소비를 하지 않고 현금으로 들고있다는 이야기입니다.
2013년 부터 2019년 동안 부동산 투자로 이득을 본 투자자와 2020년부터 부동산에 투자예정자들이
정부의 대출규제등 여러가지 강력한 제재 정책으로 인하여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을 꺼려하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투자금들이 갈길을 잃었다는 것이죠.
특히 코로나19 가 최근에 확산이 되면서 이러한 부동자금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전망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즉, 단순히 수치로만 접근했을 때에는 이러한 부동자금들의 테스트용 자금(?)이 한국증시로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예측해볼 수 있겠습니다.
여러 국/해외 애널리스트 및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동안 기나긴 조정을 거쳤던 반도체 관련, 5g 섹터에 대하여 긍정적인 전망을 연일 쏟아내었고, 실세로 꾸준히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최근들어 눈에 띄는 상승을 하였죠.
결국 이러한 부동자금들의 관심을 끌어내기 충분했을 것이다 라는게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부동자금의 흐름은 비트코인 -> 부동산 -> 증시? 가 됐으면 하는 바램이..^^;
■ 각종 경기 부양책, 한시적 공매도 금지.
https://www.nocutnews.co.kr/news/5299619
코로나19 뒤에서 웃는 공매도 세력…정부, 금지하나?
코로나19 사태에 전 세계 증시가 폭락한 가운데 공매도 세력이 기승을 부리면서 소액 개미 투자자들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공매도 금지조치를 취할 지 주목된다. 한국거래소에 ..
www.nocutnews.co.kr
일단 한시적 공매도가 이슈화가 되면서, 어느정도 윤곽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2008년도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위기가 닥쳤던 미국도 약 8개월간 , 유럽재정위기 왔을 때도 약 3개월간,
그리고 최근에 코로나19로 인한 엄청난 갭하락을 보여주었던 중국도 현재 한시적 공매도 금지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최근 PMI 지수가 2008년 경제 위기 때보다 더욱 낮게 나오는 최저 수치가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긴 양봉으로 마감을 하였네요.

개인적으로 조금은 적극적으로 금통위에서 해당 한시적 공매도에 대해서 이슈화만 적극적으로 만들어준다면, 실질적으로 시행되지 않더라도 증시 하락에 대한 완화 작용쯤은 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영 반응이 미적지근 하네요.
금융당국은 한시적 공매도 금지가 아닌, 홍콩처럼 공매도 가능 종목을 일정 기준에 따라 지정하는 '공매도 가능 종목 지정'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홍콩은 시총이 30억 HKD(약 4700억원) 이상이면서 12개월 시총 회전율이 60% 이상인 종목등을 공매도 가능 종목으로 지정하여 허용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시장에 미치는 원리에 대해서는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정도의 제도만 도입되어도 충분히 국내 증시에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https://www.fnnews.com/news/202003021017463812
골드만삭스 "美연준, 3월18일 전 금리 인하할 것"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 0.5%포인트 금리인하가 유력하다고 전망했다.2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전날 새로 내놓..
www.fnnews.com
비록 한국은행은 이번달 금리 동결 선언을 하였지만 ,한은의 금리인하/인상은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했습니다. 언제나 그러했던 FED(미연준)의 금리인하 여부가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
위 기사 내용에서 보면,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8일 긴급성명을 통해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경제에 '점차 발전하는 위험'(evolving risks)을 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파월 의장은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적절하게 행동하고 우리의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라고 언급이 되어져 있습니다. 이는 거의 금리인하가 기정사실화된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전문가들은 전망을 하고 있으며, 12월 부터 동결해온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하 할 가능성이 높다는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결국 달러의 하락, 금과 같은 안전자산의 하락세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겠으며,
1200을 돌파했던 원달러 환율도 현재 시각 기준 1200 하락돌파 하며 1193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일전에 말씀드린대로, 경제 전망 자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밝았기 때문에, 1200원을 돌파했던 원달러 환율은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으로 보았고, 해당구간에서 몇일 횡보하다 다시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네요.
코스피, 코스닥 차트분석 - 금일 코스닥 생략
코스피 (KOSPI)

일봉부터 살펴보자면, 현재 고가권 에서 주황색선 (NeckLine) 이 무너지며 동일 하락 파동이 발생을 하였고,
현재 1975 포인트선에서 잠시 제동이 걸렸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1975포인트가 무너지고 하락을 한다면, 코로나19 가 트리거가 되는 경제 위기가 발생할 확률도 있어보이는 자리가 되겠습니다.

주봉상으로 현재 2차 하락파동이 대기하고 있는 시나리오를 그려볼 수도 있고,
최저 1,800포인트까지도 확률적으론 적지만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는 상황이네요.
1차적으로 일봉차트에서 언급했던 1950 자리가 단기적으로 제일 중요한 지지선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지지선이 이탈하면 순차적으로 이탈하여 단기 전저점인 1900포인트 이탈가능성도 있겠습니다.

코스피 월봉 추세를 보게되면 현재 2년가까이 하방추세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고있고,

20 월봉 이평선이 보통 하방추세로 꺾이게되면 약 2년에서 3년간의 조정을 보여주는 듯한 패턴을 한국증시는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20월봉 하방 추세도 미중 무역전쟁이라는 기나긴 악재로 조정이 나왔으며,
기간으로 접근을 하였을 때, 상반기까지는 하방추세가 유효하다고 볼 수 있겠으며, 여기에 경제적 악재까지 겹쳐버린다면 더욱 깊은 조정이 나올 수 있는 구간이 만들어 질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더이상 나올 경제적악재는 미중무역전쟁을 통해 기간조정을 하였기에, 중단기적으로는 나올확률이 적어보입니다.
모두 어려운장 고생이 많습니다.
지금 이런장에서도 분명 배울점은 있습니다. 주식판을 길게보시고, 경험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시면 충분히 좋은 공부를 할 수 있고 본인의 매매스타일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응만 잘하시면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것이 주식시장입니다. 화이팅!
후원은 따로 없으나, 공감 및 클릭이 굉장히 큰 힘이 됩니다^^
비회원도 공감(♥)이 가능합니다. 한번의 클릭이 큰 힘이됩니다.
하루에 여러가지 뉴스를 모아보고, 찾아보고 하고 있으며,
저녁시간을 할애하여 이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누워서 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하나의 습관화를 시켜두면 좋은날이 오겠지요.
좀 더 정보들에 대해서 빠르게 전해드리고, 같이 공부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카톡방을 만들었습니다.
현재는 공개방으로 되어있지만, 가끔 가즈아를 외치시거나, 기본중의 기본을 물어보시는 분들은 거르고 있습니다.
( 어느정도 주식을 하기위해서는 주식 무작정 따라하기 정도의 책은 기본적으로 이해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금은 독불장군(?)식의 카톡방 운영일 수도 있지만,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글쓰는 저자의 수익률은 얼마인지 물어보시는 분도 강퇴하고있으며,
본인은 얼마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강퇴를 하고 있습니다.
리딩이 아닌 서로 공부를 위한 장을 열고자 합니다.
비밀번호는 0506 입니다
https://open.kakao.com/o/gtOxtWJb
꿈개미들의 주식 토론방/비번은 티스토리 시꿈개 검색
#주식 #이글벳 #에이치엘비 #마니커 #우리넷 #바이오 #테마주 #차트 #주식공부 #매매기법 #차트분석
open.kakao.com
'비공개 > 과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3.04 꿈개미 관심종목 - 에코프로비엠 / 2차전지 중장기 스윙투자 (0) | 2020.03.04 |
---|---|
티스토리 꿈개미) 신용잔고 확인방법 및 분석 (0) | 2020.03.04 |
2.26 아름다운 조정을 보여주는 관심종목 - 우수ams/서울반도체/에코프로비엠/반도체/전기차/ (2) | 2020.02.27 |
2월 25일 주식 시황 분석) 한국 증시의 기술적반등, 폭락장이 오나? (4) | 2020.02.25 |
2월 24일 주식 시황 분석) 한국증시의 급락, 개인투자자의 눈물 (2) | 2020.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