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분명 '아 언제 글을 다읽지' 라고 하면서 사진만 보고 대충 뒤로가기 하시는 초보 투자자분들 분명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 기준에서 작성을 하고 최대한 쉽게 요점만 알려드리려고 노력하는 포스팅이지만, '적어도' 꼼꼼히 읽는 노력마저 없으면 특히 요새같은 험난한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로써, 트레이더로써 절대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본인만의 기준을 만든다는건 최소 1년이상 연습하거나 깡통을 차보면서 피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포스팅을 읽으시면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개념이나, 오타의 경우 댓글로 말씀해주신다면, 오히려 제 글을 꼼꼼히 읽어주신것에 대해 감사해하겠습니다.
일목균형표의 기본적 정의, 그리고 차트 세팅
일단 일목균형표는 선행적 지표가 아닌 '후행성' 지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목균형표의 사전적 정의는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하며,
일목산인(이치모쿠 산징)이라는 필명을 가진 일본의 주가차트 전문가 호소다 고이치씨가 독자 개발한 일목균형표는 서양의 엘리어트 파동 등이 과거의 가격과 트렌드를 중시하는 데 비해 일목균형표는 시간을 주체로 하고 가격은 2차적인 개념에 불과하다는 데 기초를 둔 분석모형입니다.
즉 쉽게 말해, 지표들의 대부분이 '가격' 을 기초로 둔 2차원적 개념의 분석모형이라면, 일목균형표는 '시간'과 '가격'을 동시에 분석하는 3차원적 개념의 분석모형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단순히 일목균형표라는 지표가 있구나~ 라고 이해를 하고 넘어가신다면, 연구가 아니라 단순 암기가 되어버립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표의 습성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이러한 지표가 중요한것인지 본인 스스로 연구를 잘해보고 본인 스타일에 맞게 변형을 시켜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목균형표는 앞서 5가지의 의미있는 선이 있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1. 기준선 : 26일의 최저가격 + 26일의 최고가격 / 2
2. 전환선 : 9 일의 최저가격 + 9일의 최고가격 / 2
3. 후행스팬 : 현재 주가를 26일 뒤로 보내서 연결한 선
4. 선행스팬1 : 기준선 + 전환선 / 2 값을 26일 선행해서 그린선
5. 선행스팬2 : 52일중 최고가격 + 52일중 최저가격 / 2 값을 26일 선행해서 그린선
자, 여기서 일반적으로 정의설명이라 함은 전환선이 무엇인지, 후행스팬이 무엇인지 설명을 드려야하지만,
충분히 이런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인터넷 검색을 하면 수두룩 빽빽 나오기 때문에 필요한 것만 추려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일단 기준선/선행스팬1/선행스팬2 를 3가지를 중점적으로 보며, 이 수치에 대해서 가장 기본적인 수치만을 이용하여 몇가지 매매기준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목균형표 세팅하는 방법은 키움증권 HTS 기준이며, 최소한의 지표 세팅 방법은 검색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1) : 왼족 검색칸에서 일목균형표 검색 후 [기]일목균형표를 더블클릭
(2) : 차트에서 종목명 옆 지표 값 더블클릭
(3,4) : 수치는 되도록 건들지 말고, 라인설정에서 기준선26/선행1/선행2 만 체크하고 색상은 알아서 선택
(5) : 최종적으로 일목균형표가 차트에 적용이 된 모습
회색 구간을 '구름대', 검은선을 '기준가선' 이라고 하고 매매기준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매매기준 (1) : 주가의 구름대 돌파를 확인하라
결국 구름대라는 것은 쉽게 뚫릴 수가 없는 구간입니다.
'비공개 > 과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0일) 코스피/코스닥 주식시세 분석 및 환율/나스닥 분석 (2) | 2020.03.10 |
---|---|
국제 유가 급락의 배경, 세계 증시의 영향 (3) | 2020.03.10 |
3월 9일 (월) 일일 기준봉 관심종목 - EDGC(2), 디딤 (3) | 2020.03.09 |
나스닥과 환율의 움직임 & Bull Market, Bear Market / 미국증시는 바닥인가? (0) | 2020.03.09 |
꿈개미 잡담) 긴급금리인하는 미증시 대폭락 예고? (2008년 데자뷰) (4) | 2020.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