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 개미의 공간
미연준의 추가적인 금리인하, 과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9&aid=0004536916
美연준, 기준금리 1%P 기습인하…7000억달러 양적완화도
기준금리 0~0.25%…5년만에 제로금리로 정례회의 이틀 앞두고 또 기습인하 이달 들어서만 1.5%포인트 내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news.naver.com
미연준이 거의 5년만에 제로금리시대를 열고, 7000억 달러 규모의 양적완화도 실시한다고 하였다.
레이달리오의 부채사이클에 의하면, 양적완화까지 나왔으니 경국 '디레버리지 현상' 이 발생했다고 판단, 적극적인 개입으로 경기부양책을 쓴다는 것인데.. 지금이 디레버리징이 맞나? 하는 의문..
<디레버리징 및 부채사이클 관련은 아래내용 참고>
https://rudream.tistory.com/215
코로나19 를 트리거로 하는 경제위기가 올 것인가? -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부채사이클/뉴욕증시역사
경제적인 자유를 꿈꾸는 개미의 공간 금융위기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하며 금융위기라는 해당 주제를 갖고서 한 개인의 블로거가 포스팅을 한다는 것이 굉장히 어렵고 위험한 도전 같아 망설였습니다. 정말 여러..
rudream.tistory.com
위 포스팅 내용을 잠깐 인용하자면, 단기부채사이클에서 하락에서 정부가 타이밍에 맞지 않은 정책들을 낸다면 오히려 더욱 디레버리징현상을 가속화 시키고, 결국 경제는 '불황기' , 즉 장기부채사이클이 하락하는 국면으로 진행된다.
일단 양적완화 카드 까지 나왔으나, 연말까지 연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거의 다나왔다고 보면 될 것인데, 과연 그정도의 카드를 다쓸정도의 경제위기라는 건지가 의문이다.
미 연준에서 발표한 정책들에 대한 부분을 간단히 체크를 해보자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은,
1. 달러 유입으로 인한 유동성 증가
2. 한국은행에 대한 금리인하 가능성 높임
3. 미국에서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고, 공조를 요청함으로써 전세계 금융위기까지는 가지 않을 것.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은,
1. 우리가 모르는 다가오는 경제위기가 있나? 라는 투자자들에 대한 공포감
2.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 시장에서는 따라가기 버거운 정책들
3. 코로나19는 보건위기로써, 경기부양책을 통해 해결을 할 수 있을것인지? 지금 제일 필요한 것은 치료제 일텐데.
4. 연준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있는 경기부양책은 사라짐. 여기서 지속적인 하락사이클이 나오게 된다면 여지없이 무너진다는..
2008년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리먼브라더스 사태까지 겪을 당시는 현금 유동성이 적은 상태에서 부채가 굉장히 늘어났기 때문에, 개인도 파산, 은행도 파산하면서 경제 위기를 불러왔으나, 현재 은행들의 유동성 비율이 굉장히 높은 상황이다. 2008년의 아픔을 겪지 않기위해 미국 은행들은 열심히 현금 자산 확보를.. 현금으로 쓸수 있는 자산이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은행자체가 파산할 가능성도 낮다.
예대비율이라는 것은 대출을 예금으로 나눈 비율인데, 부채비율도 예금대비 지금은 월등히 낮은상태라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결국 그래프를 살펴보면 07년도 당시 예금보다 대출이 월등이 높아지면서, 부채 디폴트 상태가 발생을 하자 현금이 없는 미국은행들은 도미노 처럼 나가 떨어졌던 것이고, 현재는 약 75%수준.
또한 사우디/러시아의 유가전쟁으로 미국 셰일 업체가 도산할 위기에 이르면서, 특히 에너지 관련 하이일드 채권의 이자가 올라가게되고, 그로 인한 경제적인 여파가 클것이라고 걱정하시는 분들도 여럿 보이는데, 조사해보니 주택투자에 비해 실질적으로 미국 경제의 차지하는 1% 대로 비율은 낮은 상태.
결론적으로는 코로나19 에 대한 치료제가 필수일것.
아니면 애널리스트들 조차 분석하고 있지 못하는 상처가 현재 고름이 거의 한계치에 다다랐을수도있다.
마무리
결론은 지금 공포와 탐욕이 아우러지는 장으로써, 미국 뉴욕 증시의 경우 1000포인트를 왔다갔다하며 개판5분전의 엄청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는 장이라는 것인데, 보유하고 있는 포트들을 일괄 정리를 해서 재정비를 해야하나 하고 고민하게 만든다.
이번 한주도 복잡하고 힘든 한주가 될 것같은..
스토리 구독과 포스팅 댓글 및 공감 ♥ 은 작성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비공개 > 과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6일) 코스피/코스닥 주식시세 분석 및 환율/나스닥 분석 (0) | 2020.03.16 |
---|---|
단순 이동평균선 과 지수 이동평균선의 차이와 이해 (0) | 2020.03.16 |
2020.03.15 꿈개미 관심종목 - 비씨월드제약 / 코로나19 치료제 / 하이드록시클로로퀸 (0) | 2020.03.15 |
코로나19 를 트리거로 하는 경제위기가 올 것인가? -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부채사이클/뉴욕증시역사 (0) | 2020.03.15 |
3월 15일 ) 꿈개미 종목 문의 - 강스템바이오텍,랩지노믹스 (2) | 2020.03.15 |
댓글